2023. 11. 4. 13:50ㆍ책
- 저자
- 헬렌 켈러
- 출판
- 사우
- 출판일
- 2018.11.27
사흘만 볼 수 있다면 : 헬렌 켈러 자서전 ㅣ 헬렌 켈러 ㅣ 박에스더 ㅣ 사우
어렸을 때 무척 아팠던 적이 있었는데, 자다 깨다를 반복하면서 잠깐 눈이 떠졌을 때 몸이 둥실거리는 느낌이 들었는데 그 둥실거리는 느낌에서 머리가 계속 아픈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서있는데 잠깐 눈을 감으면 방바닥이 내 앞으로 다가오는 느낌이 든다.
마치 만취 상태로 걸어가는 것 마냥.
그런데 만취했을 때는 바닥이 정말 왔지만 지금은 바닥이 오려다가 말고를 반복하고 있다.
지독한 몸살에 가까운 증상인데 때때로 변화가 있으니 뭐라 제대로 설명할 길이 없다.
코로나는 참 이상하다.
그녀가 대학 2학년 때 쓴 글이고, 사흘만 볼 수 있다면 은 50대 중년의 나이에 쓴 글이다.
이 두 가지가 이 책에 담겨 있다.
책 볼 때 지명이 나오면 한 번씩 찾아보게 되는데 헬렌 켈러가 태어난 곳은 앨라배마주 터스컴비아다.
구글 지도로 터스컴비아를 검색해 보니 Birthplace of Helen Keller라고 씌어 있는 곳이 있어 사진으로나마 그녀가 있었던 곳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 난 볼 수 있는 눈이 있어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게 너무 당연한데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얼마나 간절할까.
"일생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날이 있다면 바로 이날, 내가 앤 맨스필드 설리번 선생님을 만난 날이다. 무엇으로도 측량할 길 없으리만치 대조적인 우리 두 삶이 이렇게 연결되다니, 생각할수록 놀라움을 금할 길 없다. 1887년 3월 3일 만 일곱 살을 꼭 석 달 남겨놓은 때였다."
언젠가 흑백영화로 본 게 기억이 난다.
펌프질을 해서 쏟아지는 물에 손을 가져다 대고 Water라고 알려준 설리번 선생님 말이다.
여기에도 그 내용이 쓰여있다.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사람이 쓴 글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묘사가 괜찮다.
나도 그렇지만 당시에 같이 있었던 사람들 또한 어떻게 그런 것들을 다 느낄 수 있을지가 궁금했는데, 그 궁금증이 풀렸다.
"내가 나이아가라 폭포가 준 놀라움과 아름다움에 감동받았다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긴다. 그들은 묻곤 한다.
"당신은 지금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음악 운운하는데 대체 그 모두가 당신에게 무슨 의미란 말입니까? 솔직히 일렁이는 파도를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으르렁거리는 포효를 들을 수 있는 것도 아니잖아요? 대체 당신이 무엇을 알 수 있다는 건가요?"
보았으면 또 들었으면 다 안 것인가, 다 설명한 것인가.
사랑이 무엇이며 종교란 무엇이고 또 선함이란 어떤 것인지 설명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이나 나이아가라, 이 대자연의 스스로 그러함을 설명하기 어려운 건 피차 마찬가지 아닐까.
53세에 쓴 수필에서는 사흘간 볼 수 있다면 첫째 날은 소중한 친구들과 추억이 깃든 물건, 둘째 날은 인류의 역사와 자연, 셋째 날은 다양한 삶의 방식과 일상의 사건이 벌어지는 뉴욕, 그리고 밤에는 희극 한편. 이렇게 보고 싶다고 한다.
자연이 마련해준 여러 수단을 통해 세상이 당신에게 선사하는 모든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만끽하라고 한다.
"그래도 모든 감각 중에서도 시각은 가장 큰 기쁨을 준다고 믿는다" 라고 마무리 된다.
사람이 얼마나 불완전한 존재인가.
그 누구 하나도 누구의 도움과 배려 없이 자랄 수 없는데 나이를 먹을수록 오만함이 커져 주위의 모든 것들에 대한 고마움은 잊고 지내는 듯하다.
내가 이 자리, 이곳에 있을 수 있도록 해준 많은 주위의 인재들에게 또 한 번의 고마움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보고 싶은 걸 볼 수 있고 보기 싫을 땐 눈을 질끈 감을 수 있는 것 또한 감사하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뛰는 사람 : 달리기를 멈추지 않는 생물학자 베른트 하인리히의 80년 러닝 일지 ㅣ 베른트 하인리히 ㅣ 조은영 ㅣ 윌북 (1) | 2023.11.04 |
---|---|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ㅣ 벤자민 프랭클린 ㅣ 강주현 ㅣ 현대지성 (1) | 2023.11.04 |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ㅣ 존 스튜어트 ㅣ 박홍규 ㅣ 문예출판사 (1) | 2023.11.04 |
오십, 인생의 재발견 ㅣ 구자복 ㅣ 더퀘스트 (1) | 2023.11.04 |
매일을 헤엄치는 법 : 이연 그림 에세이 ㅣ 이연 ㅣ 푸른숲 (1) | 2023.11.04 |